Flash memory의 한 종류인 MLC(Multi level Cell)에 대하여 그 정의및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겠다.
1) MLC Flash memory란
MLC란 하나의 Flash memory cell에 2bit의 Data를 저장하게 만들어 진 Flash memory의 종류이다.
기존 DRAM/SRAM/SLC(Single level cell) Flash memory의 memory cell은 1개의 cell에 1bit (즉 0과1)
data를 저장을 하나 MLC는 2bit ( '00', '01', '10', '11')을 저장함을로써, 같은 면적의 Cell array내에 SLC
대비 2배의 Data를 저장할수 있다.( ex. SLC 1Gb => MLC 2Gb)
2) MLC의 Data저장
2.1) Flash memory의 Data저장 원리
- Flash memory는 Cell의 문턱전압 (Threshold Voltage)를 전기적 신호를 통해 변하게 함으로 Data를 저장하게 되는데,
SLC의 경우 두 종류의 문턱전압분포를 생성시켜 한그룹은 '0', 또 다른 그룹은 '1'의 Data를 나타나게 한다.
2.2) MLC의 Data저장 원리
- MLC의 경우 하나의 Cell에 4그룹의 문턱전압(Threshold Voltage)분포를 형성시켜서 각각 분포가 '00', '01','10','11'을
나타나도록 한다.
3) MLC의 특성
3.1) Flash memory의 대표 특성
- Flash memroy의 대표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.
3.2) MLC vs. SLC 주요 특성 비교.
3.3) SLC vs.MLC 신뢰성 Data의 수치적인 예시
4) MLC구현의 기술적 과제
- MLC의 성능과 특성을 특징지우는 주요한 요인은 4개의 각 Data그룹간의 분포의 간격이고, 분포의 간격을 최대한 넓게 해주는 것이 기술적인 주요 과제이다.
- 소자/공정적인 방법을 통해 분포의 간격을 유지해 해야 하며
- 회로 설계적인 방법을 통해 분포의 간격 최대한 넓게 하도록 개발이 되어야 한다.
이상 MLC Flash memory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.
'Flash memo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lash memory 란 ? (1) | 2023.06.26 |
---|